분류 전체보기 83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 상승, 수요자 부담 증가

올해 들어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이상 상승하면서, 새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수요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분양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택지비(땅값)와 공사비 상승이 꼽히고 있습니다.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의 상승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0.99%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0.06%) 대비 0.93% 포인트, 작년 하반기(0.76%) 대비 0.23% 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특히 월별로는 지난해 3월(0.08%) 상승 전환된 이후 16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최근 3개월(4~6월) 동안은 상승률이 더욱 커졌습니다. 공사비 상승과 분양 지연공사 현장에서는 인건비..

부동산소식 2024.08.02

2024년 2분기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거래 현황

올해 2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거래가 2022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 기업 부동산플래닛의 분석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래량 및 거래금액 증가2024년 2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371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거래금액도 19.2% 상승하여 9조 98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로써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2022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역거래량 (건)경기789서울477경북298경남262전북234제주61기타1598합계3719 지역별 거래 분석거래량• 경기 지역: 총 789건으로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477건으로 두 번째로 많..

부동산소식 2024.08.01

공공임대주택 세대원 수 별 면적 제한 폐지 발표

국토교통부는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추가 대책'의 일환으로 공공건설 임대주택의 세대원 수별 면적 제한을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소식은 공공임대 청약 대기자들 사이에서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립니다.  기존 공공임대 면적 제한 규정지난 3월 25일부터 시행된 공공임대 면적 제한 규정은 1인 세대의 공급 면적 상한을 낮추고, 2~4인 세대의 면적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주요 골자였습니다. 특히 1인 세대의 기준 면적을 전용면적 35㎡ 이하로 제한한 것이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규정은 1인 세대가 좁은 원룸형 주택에만 신청할 수 있게 만들었고, 2인 세대는 최대 44㎡ 이하의 주택만 신청할 수 있어 투룸도 기대하기 어려웠습니다. 새로운 정책의 주요 내용정부는 ..

부동산소식 2024.08.01

김포한강 2 공공주택지구 지정

윤석열 정부의 첫 신규택지 사업인 '김포한강 2'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 이곳에는 2030년 최초 분양을 목표로 4만 6000 가구의 신규 주택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김포한강 2 지구 개요김포한강 2 지구는 2022년 11월에 발표된 '국민주거안정 실현방안'의 일환으로 선정된 첫 신규택지 후보지입니다. 위치는 경기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대 731만㎡ 규모로, 김포한강신도시와 양곡지구 사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자족도시 조성정부는 김포한강 2 지구를 상업 및 업무시설이 어우러진 '스마트 자족도시'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인접 지역과 함께 하나의 거대 생활권을 형성하여 일과 거주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분당급 신도시 형성 전망김포한강..

부동산소식 2024.07.31

서울 아파트 거래 현황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 증가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에서 15억 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20%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신규 분양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진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15억 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 증가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가 국토교통부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과 거래비중을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 15억 원 초과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45%로 집계됐습니다. 2006년 실거래 집계를 공개한 이후 이 비중이 반기별 2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비중은 2022년 하반기 13.6%에서 지난해 상반기 17.24%, 하반기 18.44%로 계속 상승해 왔습니다.강남 3구의 거래 비중이 높은 이유올해 상반기 고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부동산소식 2024.07.30

서울 내 빌라 공급 급감 현황과 문제점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 내에서 준공된 빌라(다가구·다세대·연립) 가구 수가 2900여 가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울 내 비(非) 아파트 주거공간 공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서울 아파트 준공이 증가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빌라 준공 및 착공 현황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 내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준공 가구 수는 2945 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6943 가구) 대비 58% 급감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준공 가구 수는 1만 1867 가구로 지난해(5582 가구) 대비 2.1배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앞으로 12년 내 공급될 빌라 물량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올해 15월 서울 내 다가구·..

부동산소식 2024.07.29

'로또 청약'의 기회 시세차익 수억 원 아파트

오는 29일과 30일,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최소 수억 원의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로또 청약'이 여러 건 진행될 예정입니다. 확실한 시세 차익이 보장되면서, 청약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래미안 원펜타스: 신반포 15차 재건축• 특별공급일: 7월 29일• 1순위 청약일: 7월 30일• 위치: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세대수: 총 641 가구 중 292 가구 일반 분양 (114 가구 특별 공급) • 분양가: 전용 59㎡ 17억 원대, 전용 84㎡ 22억~23억 원대 • 시세 차익: 인근 '래미안 원베일리' 시세 대비 20억 원 이상 저렴  이 단지는 후분양 아파트로, 입주자 모집 공고 당시의 분양가로 공급됩니다. 특히 전용 84㎡는 인근 단지의 시세보다 20억 원 이상 저..

부동산소식 2024.07.28

7월 마지막 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펜타스' 등 5개 단지 분양

7월 마지막 주에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펜타스'를 비롯한 5개 단지가 분양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마지막 주 전국적으로 5개 단지에서 총 3270가구(일반분양 1272가구)가 분양에 돌입합니다. 주요 분양 단지와 그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분양 단지와 특징1.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펜타스'삼성물산이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15차를 재건축한 '래미안원펜타스'를 분양합니다. 이 단지는 지하 4층부터 지상 최고 35층까지 6개 동으로 구성되며, 총 641가구 중 292가구가 일반분양됩니다. 전용면적은 59~191㎡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래미안원펜타스'는 9호선 신반포역과 매우 가까운 초역세권 단지로, 올림픽대로와 인접하여 뛰어난 교..

부동산소식 2024.07.27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와 지방 주택시장 침체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18주 연속 오르며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반면, 서울 외 지역의 아파트값과 빌라 시장은 침체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울 아파트값 상승 원인과 지방 주택시장 침체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30% 상승했습니다. 이는 2018년 9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입니다. 지난 5월 둘째 주 이후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꾸준히 확대되어 10주 만에 10배가 되었습니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선호지역 중심으로 거래량이 급증하고 시세 상승이 지속되면서 매수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며 “매도 희망자 다수가 매도를 보류하며 관망하기 시작하면서 매물은 감소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수도..

부동산소식 2024.07.26

건설사들 2분기 실적 부진 이어져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시장이 다소 활기를 띠고 있지만, 국내 건설사들의 올해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공사비와 인건비 급등, 해외 수주 부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중견·소형 건설사뿐만 아니라 대형 건설사들의 실적도 악화된 상황입니다.  주요 건설사들의 실적 분석현대건설현대건설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47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1% 감소했습니다. 매출은 8조 6212억 원으로 20.4%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1461억 원으로 31.2% 줄어들었습니다.삼성 E&A삼성 E&A의 2분기 영업이익은 262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3.8% 감소했습니다. 매출은 2조 6863억 원으로 3.6%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2053억 원으로 18.4% 줄어들었습니다...

부동산소식 2024.07.25